바다

바다

2019.09.05 ~ 2019.11.16

전시소개

일곱 번째 바다

:

별은 빛나고,

기억,

 

박현수(독립기획자)

 

 

낮은 움직임이 올라온다. 작은 조각들 사이 가느다란 푸른빛은 바다를 머금은 오랜 기억 같다. 기억은 푸른빛에 녹아있고, 문득 나타나 무언가를 말하려다 다시 숨어버리기를 반복한다.

 

이은의 일곱 번째 <바다>전은 기억의 틈 사이 스며있는 푸른빛을 따라 의식이 흐르고 맺힌 어느 순간의 단상들을 감각하며 흩어낸 시간의 모음이다. 작가는 바다 연작을 통해 유년시절 기억의 틈과 틈 사이 시간이 재생하는 감각의 흐름을 단위체의 반복적 구조와 고요한 역동적 움직임으로 표현해왔다. 완결된 하나이자 반복되는 단위로서, 그러나 결코 완성으로 드러나지 않는 미완의 과정을 통해 개인의 특정한 기억이나 형태를 넘어선 무의식적 감각의 층위로 연결 고리를 이어간다.

 

이번 전시는 끊임없이 왕복하는 파도에 밀려 부서지는 물보라 같이 바다 연작에서 파생된 빛과 말과 소리의 이야기들을 보다 유연하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보여준다. 선택된 소재와 형식은 사적인 감정과 기억들을 소환하는 장치임과 동시에 되풀이되는 시간 속에 숨겨진 기억을 만나기 위한 감각의 통로가 된다. 작가의 개별적인 기억과 사건에 대한 이야기는 각기 다른 리듬으로 겹쳐진 삶의 시간과 흩어진 의미를 연결하는 시각적, 촉각적 재구성의 단계를 지나, 미묘한 감정과 감각을 되새기는 불확실한 기호를 남기며 의미의 표면 아래로 사라진다.

 

백토를 칠한 캔버스 위에 손안에 쥐어진 만큼의 크기로 떼어낸 흙 조각 들을 붙인 ‘기억’ 시리즈는 이러한 감각의 연결고리를 연상시키는 기억의 조각으로 놓이고, 마른 점토를 부수어 우윳빛 원형판에 흩뿌린 100개의 도판 설치 작업 ‘별은 빛나고’는 100개의 하늘과 별 이야기로, 때로는 100개의 바다와 섬 이야기로 채워지지 않은 시를 고요한 낭독처럼 우리에게 건넨다. 계절을 알려주는 남쪽 하늘 별자리도, 밤하늘의 별을 보고 길을 찾던 이야기나 수많은 별들 중 자신의 별을 찾아 이름 짓던 이야기도 모두 불완전한 빛으로 온전한 삶을 꿈꾸기 위해 필요한 말과 의미 그 사이에 있는 듯하다.

 

문득 하얀 달빛 아래 떨어지는 그림자가 푸른빛으로 형태를 드리우는 밤의 장면이 연상된다. 밤과 달과 그림자가 섬섬히 스미며 서로에게 비추어 존재하는 모습은 형태로서 완결되기보다 서로가 서로에게 담김으로 완성되는 불완전함으로 온전한 조각들이다. 이은의 푸른빛은 해 아래 그림자보다 달빛 아래 그림자와 닮아있다. 

 

작년 11월 마지막 금요일 이은 작가를 만났다. 아직은 아무것도 나온 것이 없다는 말로 작업에 대한 대화는 시작되었다. 하나의 조각을 붙잡아 이어 이어 왔다고. 이제 보니 모든 것이 하나였다는 것인지 하나로 볼 수 있다는 것인지 기억이 선명하지 않지만, 낮은 음성이 띄엄띄엄 할 말을 고르다가 내심 지워버린 말들을 짧은 침묵으로 말하는 어투가 단지 하나의 조각이라는 그녀의 작업과 닮았다.

조각과 조각 사이 틈에 대해 나누었던 이야기도 초겨울과 봄, 여름을 지나 가을에 이르렀다. ‘끝도 시작도 없는...’으로 시작하여 이어진 작가의 이야기를 들으며 아르헨티나의 소설가이자 시인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가 그의 나이 여든에 남긴 말이 떠올랐다.

 

 

“나는 두 개의 끝 부분을 봅니다. 그 끝 부분은 시나 이야기의 처음이자 끝이에요. 그게 다예요. 나는 그 사이에 있어야 할 것을 지어내야 합니다. 만들어야 해요. 그게 나에게 남겨진 일이죠. 더 멋지고 어두운 이름을 사용해서 말하자면, 뮤즈나 성령이 나에게 주는 것은 이야기 또는 시의 끝과 처음이에요. 그럼 나는 그 사이를 채워야 해요.”

-여든의 보르헤스와 반스톤의 인터뷰 <보르헤스의 말> 중

 

 

 

 

 

 

생명은 모지라면 모지란대로, 살아있는 자체로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하는데

내 손은 오늘도 부자유스럽기만 하고

손이 부자유스럽다는 것은 마음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일텐데,

흙덩이를 밀어대는데 부자연스러운 조각들이 남겨지는걸 보면서

내 부자유한 한계를 반성하고 또 부끄러워 어디 쥐구멍에라도

숨어버리고 싶은 심정일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헛점도 사람의 아름다운 덕목이라고 생각하지만

마음이 자유하지 못한 것을 스스로 아는 것은 고통이 아닐 수 없다.


스스로 감옥에 갇혀서

'이게 내 세상인가' 하는 착각 속에서도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를 꿈꾸는 아이러니.


이 생 끝 즈음에는 만지작거린 쪼꼬만 흙덩이가 '자연'스럽길.


신이 허락한다면 그 희열의 순간을 꿈꾸어 본다. 젠장.


2019.8.16 늦은 밤

 

 

 

 

 

 

 

 

 


The Seventh Sea 

:

The Stars Twinkle

Memory 

Worlds 

 

By Park Hyun-soo (Independent Curator)

 

A low movement comes up to the surface. Thin blue lights situated among small pieces of time are like old memories imbued with the sea. Memories melt into the blue lights and go into hiding before suddenly appearing again as if trying to say something.

 

Artist Lee Eun’s seventh solo show titled The Sea brings together pieces of time when consciousness flows, following the blue light filtering into the gaps between memories and fragmentary thoughts are sensed at some point. The Sea series is a representation of the flow of the feeling reproduced in the gap of her childhood memories using a repetitive structure and serene yet dynamic movements. This series addresses an individual’s specific memories and an unconscious layer of the senses through an incomplete process but as a completed one or a repetitive unit.

 

This exhibition demonstrates stories of light, words, and sound deriving from The Sea series. The motifs and forms she chooses are tools to call to mind private emotions and memories as well as a passageway of the senses to uncover memories hidden behind time. Her individual memories and narratives die away beneath the surface of meaning, leaving behind uncertain symbols reminiscent of subtle emotions and senses after going through a phase of visual and tactile reconstruction through which overlapped time and dispersed meanings are linked together in different rhythms.

 

The Memory series in which clay pieces have been added to a canvas covered in white slip appears as shards of memories redolent of the link between the senses. The Stars Twinkle, an installation work of 100 ceramic plates in which dried clay is broken and scattered about a circular plate, conveys a poem that goes beyond the tales of 100 heavens and stars or the tales of 1000 seas and isles as if reciting it in a serene atmosphere. A constellation in the southern sky informs us of the season, we can find our way by means of the stars, and naming our own stars among a myriad of stars seem to fall in between words and meanings necessary for our whole lives. 

 

A nightscape in which the shadows under white moonlight are cast in blue light is recollected. The night, the moon, and the shadows filter into and reflect one another. They are whole pieces completed after they are contained in one another, not form. Lee’s blue light looks more like the shadow under the sun than under the moon.

 

I met Lee Eun on the last Friday of November last year. Our conversation began with us saying that nothing had come out yet. She captured and continued with one piece. My memory of the event is not vivid enough to remember whether everything was one or could be seen as one, but her way of speaking, her way of selecting which words she would say and talking in a low voice, resembled her work that is said to be one piece. What we talked about in terms of pieces has extended to autumn following early winter, spring, and summer. I recalled that which Jorge Luis Borges, an Argentine short-story writer and poet, left behind at the age of 80 when I heard her begin to speak: “There is no beginning and end…” 

 

 

“I see two tips. And those tips are the beginning of a poem, the beginning of a fable, and the end. And that’s that. And I have to invent, I have to manufacture, what comes in between. That is left to me. What the muse, or the Holy Ghost, to use a finer and a darker name, gives me is the end and beginning of a story or of a poem. And then I have to fill it in.”

- Excerpts from Borges at Eighty: Conversations, an interview with Willis Barnstone

 

 

작가소개

이은 LEE, EUN
1961년생 이은 작가는 추계예술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나, 현재는 도자를 이용한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갤러리로얄에서의 전시가 8번째 개인전이다. 아트스페이스3, 갤러리이도, 갤러리이듬 등에서 전시를 열었다. 작가는 도예와 회화를 결합해 그만의 바다를 담아내는 방식을 선보인다. 이은에게 있어 ‘바다’는 생성과 소멸의 끝없는 순환을 품어낸 거대한 자연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타지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 온 자신을 위로했던 기억이 아로새겨진 개인적 공간이기도 하다. 그녀의 손 끝에서 탄생한 작품에는 바다의 푸른빛이 자아내는 고요함과 반복적인 조각들이 연주하는 리듬이 담겨 있다.

작품소개